지리/기후/자연/민족

지리

지리

중국은 영토가 넓고 다양한 지리적 특성으로 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중국의 지형은 유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지각의 평행이동·융기 · 침식 · 습곡 · 단층 등의 내부작용과 물·바람 등의 외부작용으로 형성된 지질구조가 다양화 되었다. 따라서 지형의 고저와 표고차의 변화가 두드러지면서도 그 분포는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지형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산지 33%, 고원 26%, 분지 19%, 평원 12%, 구릉 10%로 분포되어 산지의 비중이 가장 높은데, 전 세계의 8,000m 이상 12개 산봉우리 가운데 7개가 중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종횡으로 교차되어 있는 고산준령(高山峻嶺)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중국 지형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으며, 고원, 분지, 평원, 구릉의 윤곽은 모두 이러한 산맥의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맥들은 중국의 지리와 농업생산에 중요한 경계선이 되었다. 중국지형의 일반적인 특징은 크게 다음과 같다.

1 중국지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서고동저(西高东低)의 계단식 지형이다. 중국지형은 유라시아대륙의 지면이 태평양 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강인 장강과 황하는 서부의 청장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으로 흐르고 있으며, 이 외에 대부분 강물도 서에서 동으로 흐르고 있다.

2 중국지형의 또 다른 대표적인 특징은 표고차가 크고 그 지형이 다양하다는 것이다. 중국 경내에는 세계 최고봉인 초모룽마봉을 비롯한 8,000m 이상의 높은 봉우리가 7개나 있는가 하면, 신강의 투르판분지에 있는 아이띵호(艾丁湖)는 해면보다 154m가 낮아서 그 표고차는 9,000m에 달하는데 이러한 표고차는 세계에서 달리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중국의 지형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가지 지각변동을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종횡으로 뻗어있는각종 산지, 광활한 고원, 한없이 넓고 평탄한 평원, 고도의 크기가 다른 분지와 구릉 등 매우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분포 상황을 보면, 동반부는 북부의 장백산 · 흥안령 · 태항산과 황토고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형이 평탄한 동북평원 · 화북평원과 광활한 내몽고 고원이고, 진령- 대별산 이남은 대부분 구릉과 분지이다. 운귀고원 일대는 고원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지형의 기복이 심하다. 난주(蘭州)-곤명(昆明) 이서의 서반부는 기본적으로 히말라야산 · 곤륜산 · 천산 등과 같은 해발 3,500m~5,000m 이상의 고산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그 사이에 청장고원과 타림분지(塔里木盆地) · 즁갈분지(准噶爾盆地) 등이 놓여 있다.

북서부는 건조한 사막지대가 많고 남부는 석회암이 침식된 카르스트 지형을 이루고 있고, 동남의 구릉은 적색토이며, 황하 이북에는 황토가 널리 분포되어 있고, 동북의 평원은 부식토질의 흑색토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강 · 황하 등 대다수의 강은 지세에 따라 서에서 동으로 태평양으로 유입되고 있으나, 노강(怒江)처럼 남으로 흘러 인도양으로 유입되는 강이 있는가 하면 신강의 엘데인강 처럼 북으로 흘러 북극해로 유입되는 강도 있다.

기후

기후 기후

중국은 전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풍 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광대한 영토 탓에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한다. 예를 들어 겨울과 여름의 기온폭, 즉 기온의 연교차에 있어서 북쪽의 하얼빈은 무려 40℃ 이상을 보이는 반면, 남쪽의 하이커우는 10℃ 안팎의 차이를 보일 뿐이며, 연평균기온에 있어서도 하얼빈은 5.5℃로서 덥지 않은 여름과 춥고 긴 겨울을 보내는 반면, 하이커우는 25.4℃로 겨울 없이 일년 내내 온화한 기온을 유지한다. 특히 창장 유역의 난징(南京), 우한(武漢), 충칭(重慶)은 '중국 3대 화로'라는 별명에 걸맞게 7~8월 평균기온이 특히 높다.

중국 계절풍 기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겨울 한랭건조, 여름 고온다습'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바로 사계절이 분명하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와 기온이 높은 시기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위도상의 다른 지역과 강우량의 계절적 분포를 비교하면 중국은 세계의 동일 위도상에 있는 지역 중에서 강우량이 비교적 많은 국가에 속한다. 동위도상의 아열대 지역을 예로 들면, 미국 동부는 인도와는 강우량이 비슷하지만 북아프리카나 사하라사막 북부와 지중해보다는 강우량이 훨씬 많다.

또한 중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세계 동일 위도상에 있는 지역 중에서 겨울에 가장 한랭한 국가이다. 1월 평균기온을 예로 들면, 중국 동북지구는 동위도상의 평균 기온보다 15~20 ℃ 낮고, 황하, 회하 유역은 10~15 ℃ 낮으며, 장강 이남은 6~10 ℃ 낮고, 화남 연해는 5 ℃ 낮다. 반면 여름에는 세계 동일 위도상에 있는 국가 중에서 사막을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가장 더운 지역이다. 7월 평균기온을 예로 들면, 동북지구는 동위도상의 평균 기온보다 4 ℃ 높고, 화북은 2.5 ℃ 높으며, 장강 중·하류는 1.5~2℃ 높다.

중국은 영토가 넓은 만큼 그 기후 유형도 아주 다양해서 중국의 최북단에 위치한 막하가 한·온대에 속하는가 하면, 최남단에 위치한 남사군도는 적도기후에 속한다. 뿐만 아니라 해발 4,500m 이상의 청장고원은 일년 내내 겨울인 반면, 남해의 여러 섬들은 일년 내내 여름이다. 운남 중부는 사계절이 봄처럼 따뜻하고 그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사계절이 분명하다.

자연

중국의 산천은 웅장하고 아름답다. 끊임없이 이어진 산맥, 길게 이어진 산자락과 드높은 고원, 넓게 펼쳐진 평원이 있으며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와 경사가 완만한 구릉이 있다. 산지대 구릉과 고원은 전국 육지 면적의 65%를 차지하며 2,000여 개의 크고 작은 천연 호수들이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자연

중국의 대표고원 - 청장고원(青藏高原) 중국에서 제일 큰 고원이자 세계평균 해발고도가 제일 높은 고원으로써 중국 대륙의 서남쪽 즉 티베트(西藏)에 위치하고 있다. 평균 해발은 4,000~5,000이고 총 면적은 250만 평방킬로미터로 "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린다.

자연

중국의 대표적인 강 - 장강(长江), 황하(黄河) 장강은 전체 길이가 6,397km로 중국에서 가장 길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세 번째로 긴 강으로 황하와 함께 '어머니의 강(母亲河)'이라고 불린다. 황하는 전장 5,464km의 강으로 중국에서는 장강 다음으로 긴 세계 5위의 강이며, 전 세계에서 함사량(含沙量)이 제일 많은 강이다.

풍부한 식생과 다채로운 지형으로 인해 중국에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남중국해의 해안지역에는 맹그로브 습지가 있고 하이난 섬[海南島]과 윈난 성 남부에는 우림이 있다. 그밖에 열대와 온대 침엽수, 상록활엽수, 낙엽수가 주를 이루는 지역이 있다. 다른 지역에는 이미 멸종된 동물들이 중국에는 여전히 서식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양쯔 강에 서식하는 철갑상어류(Pse-phurus gladius), 동부와 화중지방에 사는 양자강악어, 서부의 자이언트샐러맨더(프세푸루스 글라디우스) 같은 것들이 있다. 자이언트 팬더가 살고 있는 지역인 티베트와 쓰촨 지역은 가장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민족

민족

중국은 다민족 통일 국가이다. 절대다수인 한족 외에 55개의 소수민족이 고유한 자신들의 영역을 중심으로 군집하며 민족 정체성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민족 대가정(民族大家庭)'이라는 슬로건아래 한족의 주도권을 강조하기보다는 각 민족의 화합과 단결에 기초한 중화민족론을 표방하고 있다. 중국의 헌법 역시 이런 취지에서 '대한족주의(大漢族主義)'와 '지역민족주의(地方民族主義)'를 엄중히 경계하며, 민족차별로 인한 갈등의 해소와 민족분리주의에 따른 소요를 불식하는 것이 민족 정책의 핵심임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고, 고유의 풍습을 존중하며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 사용을 지지하며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총 56개 민족 분류의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한족(漢族), 좡족(壯族), 만족(满族), 후이족(回族), 먀오족(苗族), 위구르족(維吾爾族), 투자족(土家族), 이족(彝族), 몽골족(蒙古族), 티베트족(짱족藏族), 부이족(布依族), 둥족(侗族) 야오족(瑤族), 조선족(朝鮮族), 바이족(白族), 하니족(哈尼族), 카자흐족(哈薩克族), 리족(黎族), 다이족(傣族), 서족(畲族), 리쑤족(傈僳族), 거라오족(仡佬族), 둥샹족(東鄕族) 라후족(拉祜族), 수이족(水族), 와족(佤族), 나시족(納西族), 창족(羌族), 투족(土族), 무라오족(仫佬族), 시보족(錫伯族), 키르기즈족(柯爾克孜族), 다워얼족(達斡爾族) 징포족(景頗族), 마오난족(毛南族), 싸라족(撒拉族), 부랑족(布朗族), 타지크족(塔吉克族), 아창족(阿昌族), 푸미족(普米族), 어원커족(鄂溫克族), 누족(怒族), 징족(京族) 지눠족(基諾族), 더앙족(德昂族), 바오안족(保安族), 러시아족(俄羅斯族), 위구족(裕固族), 우즈베크족(烏孜別克族), 먼바족(門巴族), 어룬춘족(鄂倫春族), 두룽족(獨龍族) 타타르족(塔塔爾族), 허저족(赫哲族), 가오산족(高山族), 뤄바족(珞巴族)